언제나 처럼 나의(여러분의) 시간은 소중하니 급하신 분은 제일 아래쪽 결론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다 읽으면 데이터 낭비.

 

구입 동기

 

 

 

 


얼마 전 중소기업 UHD TV를 구입해서 모니터로 사용중에 있었다. 특별히 4K 컨텐츠에 대한 욕심이 있던 건 아니었지만 역시나 환경이 이렇게 되고나니 그렇지가 않은게...

 

그래서 4K 컨텐츠를 찾아보았다.

 

 

구글신에게 물어보았다

 

오랜 시간의 검색결과 다음의 결론에 도달.

U+,올레TV 등 IPTV에서 제공하는 4k서비스는 정말 생색내기 수준일 뿐이다. 양적인 부분은 물론이고 품질에도 아쉬움이 무척 큰편. 현재로서는 가장 많은 컨텐츠를 볼 수 있는 곳은 유튜브와 넷플릭스가 유일하고 지상파 UHD 서비스가 시작되기 전까지는 계속 그럴 것으로 생각된다.

 

유튜브야 PC에서도 볼 수 있고 오만가지 기기에서 다 볼 수 있으니 그렇다 하는데 넷플릭스 4k를 보려면?

LG나 삼성의 UHD급 TV에는 기본적으로 4k를 지원하는 넷플릭스/유튜브 앱이 내장되어있어서 이런 쓸데없는 제품은 필요가 없다는것.
하지만 나처럼 저가 중소기업 제품을 사용중이거나 UHD모니터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4k 넷플릭스는 그림의 떡일 뿐.
그러다보면 쉴드TV를 사야하나, 플스pro를 사야하나 하는 쓸데없는 고민이 시작된다.

 

 

샤오미 미박스

 

가난한 4K워너비를 위한 물건

 

 

이 녀석은 샤오미에서 나온 공식 안드로이드TV OS를 이용하는 거치형 기기이다. 샤오미 미박스 글로벌 버전이라 불리우기도 한다.

구글 I/O를 통해 처음 소개된 바 있고 넥서스플레이어가 단종된 상황에서 사실상 -선택가능한- 얼마 안되는 안드로이드 셋톱 중 하나.

 


쿼드코어 Cortex-A53 2.0GHz, Mali 450
2GB 램
8GB 저장공간
Android TV 6.0 (마시멜로우)
Wi-Fi: 802.11a/b/g/n/ac, 듀얼밴드 2.4GHz/5GHz, 블루투스 4.0/3.0
VideoVP9 Profile-2 4K x 2K @ 60fps, H.265 HEVC MP-10 at L5.1 4K x 2K at 60fps, H.264 AVC HPat L5.1 4K x 2K at 30fps, H.264 MVC 1080P at 60fps
HDR10/HLG HDR
DTS 2.0, Dolby Digital Plus
HDMI 2.0a (HDCP 2.2)
USB 2.0(??)
SPDIF / 3.5mm 겸용 포트


기존 넥서스 플레이어 대비 가장 큰 특징은 4K 해상도 / HDR지원이고 좀더 자세히 보자면  DD,DTS지원, VP9 및 H.264, H.265코덱 지원등등...이 되겠습니다만 넷플릭스 4K 하나면 충분하기에 고민없이 주문!

 

히힠4K다!아몰랑 주문

 

 


 

 

 

 

여러분은 저처럼 mi.com에서 주문하지 않기를. 배송도 느리고 처리도 느리고. 샤오미 개객기.
mi.com에서 주문해서 미국가는데 20일 걸리고 배대지에서 오는데 1주일해서 한 달이나 걸려서 받았다. 항의 했더니 샤오미 CS담당자가 늦어서 죄송하다고 메일을 계속 보내는데 물건을 보내줘야지, 미안하면 빨리 보내던가.

 

 

 

 

상당히 인상적인 크기다. 답배갑 1.5배 정도 사이즈로 키보드 숫자키패드보다 작다.

후면에는 아답터 연결단자, 풀사이즈 USB2.0, HDMI, 오디오출력(광겸용)단자.

 

4K

 

왼쪽부터 넷플릭스/ 유튜브 / PLEX

 

HDCP 문제로 조금 우여곡절이 있기는 했는데 결론은 OK. 문제없이 4K 아주 잘 구동된다.

 

기기 해상도를 4K해상도로 변경하고 넷플릭스를 실행하면 지원되는 컨텐츠에 자동으로 -사진에서 같이- ULTRA HD 4K라고 표시가 된다.
또한 기존에 없던 4k 탭이 추가되어 추천 4K 컨텐츠만 모아서 보여준다.
영상을 재생하면 별도로 해상도를 알려주지는 않지만 4K영상이란 걸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심봉사 눈이 뜨이듯 갑자기 화질이 또릿하고 맑아짐. 모를 수가 없다)

유튜브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별다른 설정없이 4K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었다. 유투브의 경우 별도로 표시되는 게 아니어서 검색을 통해 4K영상을 찾아서 봐야하는데 이름만 4K로 써둔 가짜 영상들이 있으니 주의.


누군가 쉴드TV에 있는 이더넷 단자(유선랜)가 없어서 4K스트리밍은 무리가 있을 것이다 라고 하였는데 실제 사용해보니 그렇지는 않았다. 무선 환경에서도 OK.

무선 공유기 사이 벽이 있어서 5Ghz도 아니고 2.4Ghz로 연결해서 감상했음에도 아무 이상없이 4K 스트리밍 가능했다.

경험으로 볼때 4K의 스트리밍 문제는 유/무선하고는 아무런 상관이 없고 인터넷 회선자체 속도/ISP하고의 궁합에서 나오는 문제일 경우가 많은걸로 보인다. 특히 U+ 쓰시는 분은 넷플릭스4k 보는건 거의 불가능.

 

물론 더 안정적인 연결을 원한다면 7천원 정도하는 USB 이더넷 아답터를 이용하면 유선도 가능하다.

 

 

 

미디어 스트리밍 앱인 Plex에서도 원격지에 저장된 4k 영상 감상이 가능했다.

 

 

안드로이드TV

스펙과 태생적인 한계 때문에 미디어 영역을 벗어나면 메리트가 상당히 감소된다.
미박스 만의 문제는 아니고 안드로이드TV 앱환경 자체가 모바일과는 다르게 망해버린 이유가 크다. 그나마 얼마 안되는 컨텐츠도 넥서스플레이어와 나뉘는 경우도 있어서 더 문제.

 

그렇다고 미디어 위주(Play스토어의 영화)로 운영을 하는가 싶어 확인해보면 HD영화라는게 죄다 720p인 것도 함정.

4K놓고 720p로 보면 눈이 썩는 기분이드는게 구글이 장사하기 싫은 모양이다.

 

앱스토어가 휑함

 

 

 

비교체험 극과 극

 

 

거기에 스펙에서 오는 한계는 어쩔 수 없기때문에 게임이나 기타 앱은 4K로 구동되지 않는다. 사실 운이 좋으면 1080p 수준의 게임을 볼 수 있고 아니면 720p이하의 안타까운 화질로 구동된다.
게임별 편차가 큰 편이어서 Implosion같은 게임의 경우 콘솔게임 분위기로 비교적 쾌적하게 게임이 가능한 반면 유명 게임인 아스팔트8의 경우는 차라리 폰으로 하고 말지 라는 마음이 들정도로 처참한 퍼포먼스와 화면을 보여준다.

 

게임이 돌아가는 안드로이드 셋톱박스를 원한다면 쉴드TV를 사세요. 단돈 199달러. 음...차라리 xbox one이 나으려나.

 

 

PC스트리밍과 레트로게임은 잘됨. moonlight가 구동된다!

 

그럼에도 다행스러운 점이 있다면 retroarch를 비롯해 안드로이드로 포팅된 많은 고전게임 에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최근에 안드로이드TV 앱스토어로 moonlight라는 Nvidia그래픽 카드 사용자를 위한 PC게임 스트리밍 앱이 등록되었다는 점.

moonlight의 경우 4K해상도 까지도 지원(만)한다.

 

 

결론

장점
1. 싼데 (69$) 4K가 돌아가. 넷플릭스 잘돼.
2. 싼데 리모콘도 들어있어.

3. 안드로이드TV라 리모컨만 있어도 쓸만해. 게다가 패드도 있으면 게임도 돌아가.

 

 

단점
1. 근데 안드로이드TV가 너무 구려.
2. 게임이 버벅거려.
3. 게다가 아직도 마시멜로우인데 업데이트가 될지 어쩔지 알 수가 없네

 

 

 

제 기준으로는 이정도면 합격.

넥서스플레이어는 이미 단종되었고 비슷한 가격대의 크롬캐스트 울트라와 비교하면 리코컨과 게임/앱 구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물건.
4K환경에서 xbox one s, PS 4 pro, 쉴드TV가 미박스와 비교할 급이 아니긴 하지만 가격 또한 비교할 급이 아님에도 똑같이 넷플릭스4K 감상이 가능한 걸 생각하면 대단한 기기라고 생각된다.

댓글

 

 

 

 

샤오미에서 나온 거치형 안드로이드 기기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상당히 작은 크기, 간소화된  입 출력단이 제일 큰 특징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급하신 분은 제일 아래 요약만 보시면 됩니다.


스펙은...


미디어텍 MT8685A 1.3Ghz 쿼드코어 + Mali450 GPU

안드로이드 4.4.2 기반 miui

메모리 1GB DDR3
저장공간 4GB eMMC

802.11 b/g/n Wi-Fi + Bluetooth 4.0

HDMI 출력


특이하게도 별다른 연결선 없이 콘센트에 바로 연결하는 방식이며 프리볼트여서 돼지코만 연결하면 그대로 사용 가능합니다.

장/단점으로 간단하게 적어보겠습니다.

 

단점!

1. Google CTS를 통과한 제품이라는 알리판매자의 말에 속아 구입했습니다만...

실상은 안드로이드 4.4.2기반의 miui(tv) 이며 중국어 커스텀os입니다.

그 말은 유투브도 안되고 구글 로그인도 안되고 당연히 play스토어도 안녕이라는 말.


유투브 및 구글의 도움으로 간신히 영문 ui로 변경은 하였지만(한글 메뉴 ㅠㅠ) 상당부분이 여전히 중국어로 나와 사용하기 불편한 건 마찬가지입니다.


2. 앱설치 문제

microUSB도 없고 microSD슬롯도 없고 브라우져도 없고.. 앞에 말했듯이 play스토어 접속도 안되고..

wifi를 통해 apk파일을 설치하는 방법 뿐인데 기본 상태에선 거의 대부분의 앱설치가 불가능하게 막혀있습니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또 다른 소파버틀러(shafa.com)라는 중국발 정체불명의 마켓겸 런처겸 앱을 설치하면 해결되는데 wifi를 통해 pc혹은 스마트폰을 통해 apk파일을 사이드로드 가능하게 해줍니다.

(해당 앱을 설치하게되면 안드로이드 설정메뉴에 접근 가능하게되고 ui도 영어로 변경가능합니다. 필수설치)


하여튼 앱 설치에 많은 삽질이 필요하다는 말.


3. 루팅불가(아직은..아니 영원히??)

이런 중국발 기기들은 손대기 시작하면 많은 노력이 필요한데... usb나 sd슬롯이 없으니 루팅할 방법이...

그냥 있는대로 써야합니다. 쓸데없는 고생하지 말라는 베려인듯.


4. 기타

사실 필요없는 사항이지만... 샤오미에서 제공하는 모든 영상컨텐츠는 중국외부로는 막혀있어 볼 수가 없습니다. 앱의 경우 설치는 가능한데 다운 속도가 매우 느립니다. 중국산 앱 이외에 알만한 게임들이 보이는데 무료입니다. 샤오미 공식마켓인데 설마 불법판은 아니겠죠??


참고 : 이걸 구입할 사람은 없겠지만 혹시라도 구입한다면 반드시 펌웨어 업데이트 전에

영어 UI 변경 및 shafa 런쳐/마켓 설치를 먼저 해야합니다.

최근 펌웨어에서 기본 상태에서 외부 apk파일 설치를 막아버렸습니다. 저는 다행히 작업을 다하고 펌업했지만… 펌업 먼저하면 아름다운 x덩어리가 되어버립니다.

 


 

장점!

1. 하드웨어 마감이 좋다.

작은 크기에 바로 컨센트에 연결되는 구조도 신선하고 애플tv 리모컨을 복사..아니 참고한 블루투스 리모컨도 깔끔한 마감으로 잘 만들어져 있습니다. 심플한 패키지포장도 일품.


2. Kodi(구 xbmc), plex, widi/미라케스트

잘돌아갑니다. 아주아주 잘.

기기 자체적으로 돌비 및 DTS 코덱을 내장하고 있어서 plex, kodi에서 별다른 변환과정없이 그대로 재생됩니다. 지금까지 경험해본 유사 기기 중 가장 우수합니다!(DD,DTS 패스스루 까지도 된다고 써있음)


또한 미라캐스트/widi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서 스마트폰 이나 타블렛, PC(WIDI) 화면을 간단히 미러링 가능합니다. (겔럭시S5, 윈8.1태블릿에서 테스트해봄)


3. 싸다

전용 리모컨을 포함해 $50 정도에 2번의 기능이 되는 이정도 제품이면 괜찮은 것 같습니다.

 

 

 

중국산 커스텀os인지 모르고 샀지만 나름 쓸모있는 구석이 보여 절반의 성공?

쓰고보니 장문이 되었군요. 요약하자면


 

 

단점

1. 구글스토어도 안되는 커스텀os에

2. apk를 직접 사이드로드 시켜야하며

3. 루팅도 불가능해 편의에 맞게 고치기도 쉽지않다.

4. 그나마 쉽게 접근가능한 컨텐츠는 중국어에 쓸모가 없다.


장점

1. 그래도 중국산 답지 않은 괜찮은 마감에

2. xbmc(kodi), plex, 미라캐스트등 미디어 플레이어로 쓸만한

3. 저렴한 기기이다.




댓글